top of page


"GLYPHICS" series ( 2022 )
Mountains, rivers, skies, and rain, these are some of the natural elements that has inspired the "Glyphics" series by Beomseok Chae. The five artworks of the designer can be considered as three-dimensional oriental hieroglyphics, that bring with themselves the metaphor they were designed to express. That's how hieroglyphics work, they imitate objects or phenomena, expressing their concept. The objective of Beomseok Chae is, thus, to three-dimensionally represent elements of the nature, realizing objects with a very modern style.
Glyphic (상형문자) 상형문자는 사물이나 현상을 본 떠 그 관념을 나타낸 문자이다. 인간은 항상 어떤 대상을 보이는 그대로 해석, 기호화 하여 표현해왔고 고대 언어의 대부분은 상형문자로 이루어져잇다. 늘 2D상의 평면에서 '문자'로 해석되어온 대상을 3D상의 입체물로 치환했다. 상형문자의 특성을 지녔지만 현대적이고 입체적으로 자연의 요소를 표현한 프로젝트이다.
340 x 340 x 450 (mm)
Polycarbonate / Aluminium

001. SAN ( 2022 )
"San" is a traditional Korean word for mountain. It is an artwork that interprets and expresses the verticality and shape of towering mountains and cliffs in a way that is written in an oriental hieroglyphic system.
'산(San)'은 우뚝 솟아있는 산과 절벽의 수직성과 그 형태를 상형화 한 오브제이자 스툴이다.
340 x 340 x 450 (mm)
Polycarbonate / Aluminium





002. GARAM ( 2022 )
"Garam” is a traditional Korean word for 'river'. It is an object expressed by interpreting the curve of the river in a straight line in a characterization method of an oriental hieroglyphic system. It is made of polycarbonate and aluminum finish, and has an impressive artwork with a straight line image such as oriental characters.
'가람(Garam)’은 강을 일컫는 한국의 전통적인 단어이다. 강의 곡선을 동양적인 상형문자체계의 문자화 방식으로 직선적으로 해석하여 표현한 오브제이다.
340 x 340 x 450 (mm)
Polycarbonate / Aluminium

003. MARU ( 2022 )
"Maru" is a traditional Korean word for the sky. Artwork and stool that hieroglyphs the clearness, transparency, and clouds of the sky
'마루(Maru)’는 하늘을 일컫는 한국의 전통적인 단어이다. 하늘의 맑음과 투명함, 구름을 상형화 한 오브제이자 스툴
340 x 340 x 450 (mm)


Polycarbonate / Aluminium


004. SONAGI ( 2022 )
"Sonagi" is a traditional Korean word for shower(rain). It is an object and stool that embodies rain clouds and heavy showers that sprinkle rain coolly.
'소나기(Sonagi)'는 갑자기 세차게 쏟아지다가 그치는 비를 일컫는 한국의 전통적인 단어이다. 시원하게 비를 뿌리는 비구름과 세차게 내리는 소나기를 상형화 한 오브제이자 스툴이다.
340 x 340 x 450 (mm)
Polycarbonate / Aluminium



005. WOORI ( 2022 )
"Woori" is a traditional Korean word for “We”. It is the shape of a human leg or a human-made building. It is an object and stool that hieroglyphs our bodies as part of nature and many of the structures in the world we have created.
'우리(Woori)'는 인간의 다리 형상을 하기도 하고 인간이 만든 건축물의 형태로 보이기도 한다. 자연의 일부로서의 우리의 몸과 우리가 만든 세상속의 많은 구조물을 상형화 한 오브제이자 스툴이다.
340 x 340 x 450 (mm)
Polycarbonate / Aluminium


bottom of page